정재문
미국 코넬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
미국 뉴욕 기반의 그로스에쿼티 펀드인 Activant Capital에서 투자 업무를 수행하며, Fintech, Enterprise Software 등 섹터를 중심으로 글로벌 성장 기업에 대한 투자를 진행.
또한 성담에서 패밀리오피스 업무를 맡아, 직접 투자뿐 아니라 다양한 국내외 펀드에 대한 LP 출자 검토를 수행.
행동주의 펀드, 프라이빗 크레딧, 세컨더리, 바이아웃, 벤처 등 다양한 전략의 글로벌 펀드를 심사하고 투자 구조를 분석한 경험을 보유.
현재는 리버티랩스의 대표를 맡아, 중소기업 인수 및 인수 이후 운영 전략을 총괄.
박찬호
미국 조지타운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및 하버드 로스쿨을 졸업.
뉴욕 소재 로펌 Simpson Thacher & Bartlett LLP에서 M&A 변호사로 근무하며, 총 100조 원 이상 규모의 글로벌 인수합병 및 투자 거래에 대한 자문을 수행.
의료기기, 제약, 소비재, 보험, 인공지능, 반도체, 금융 인프라 등 다양한 산업에 걸쳐 글로벌 사모펀드와 전략적 투자자들을 대리하였으며, 글로벌 의료용품 제조업체의 바이아웃, AI 기반 음성인식 기업의 전략적 인수, 북미 지역 은행 간의 대형 합병, 소프트웨어 포트폴리오사의 매각, 데이터 센터 운영사에 대한 전략적 투자 유치 등 복잡도와 이해관계가 높은 크로스보더 거래를 다수 리드한 경험을 보유.
현재는 리버티랩스에서 투자 총책임자(CIO)로 근무하며, 중소기업 인수 검토, 거래 구조 설계, 인수 이후의 성장 전략 수립 등
투자 전반에 걸친 업무를 총괄.
유현호
고려대학교 경영학과와 소프트웨어공학과를 복수 전공.
EY 파르테논에서 전략 컨설턴트로 근무하며, 국내외 다수 산업에 걸친 M&A 및 사업 전략 프로젝트를 수행.
국내 선도 금융그룹의 저축은행 인수, 글로벌 공작기계 제조사 인수, 국내 이커머스 기업 인수 등의 Buy-side 실사(CDD) 자문을 수행하였으며, 국내 주요 모빌리티 기업의 IPO 대비 Sell-side 실사, 국내 선도 사모펀드의 API 제조업체 인수 타당성 검토 등 다양한 거래 구조 분석 업무를 수행.
이외에도 국내외 자동차, 제약, 에너지, 디스플레이, 공항, 핀테크, 모빌리티 산업을 대상으로 시장성 검토, 사업 타당성 분석, 기술 전략 수립, 중장기 사업 전략 기획 등 다수의 프로젝트를 리드하거나 주요 역할을 수행한 경험을 보유.
현재는 리버티랩스에서 전략 총책임자(CSO)로 근무하며, 자회사 운영 개선, PMI 전략 수립, 시장 분석 및 투자 실행을 포함한 전략 전반을 총괄.
조용진
미국 코넬대학교 컴퓨터공학과를 졸업한 후,
보스턴 소재 글로벌 헬스케어 IT 기업인 InterSystems에서 Senior Developer로 근무.
임상 이벤트 기반의 비동기 라우팅 시스템, FHIR R4 및 CDS Hooks 기반의 임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OAuth 2.0 인증 구조,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아키텍처 등 의료 정보 시스템 전반의 핵심 기능 설계 및 구현을 담당.
국제 의료 표준화 프로젝트 및 대규모 병원 시스템 간 상호운용성 테스트에 참여하였으며, EMR 데이터 처리 효율화를 위한 아키텍처 설계, 미국 연방 정책에 대응하는 시스템 구축 경험을 보유.
북미 내 주요 의료기관 및 공공 의료 시스템을 대상으로 수억 달러 규모의 연간 반복 매출을 창출하는 B2B 헬스케어 플랫폼 구축에 기여.
현재는 리버티랩스의 CTO로 근무하며, 자회사들의 디지털 전환(DX), AI 도입, 내부 시스템 고도화를 총괄.